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사이클로이드2

[수학 이야기] 아스트로이드(Astroid) 아스트로이드 개요 오늘 알아볼 용어는 아스트로이드라는 자취의 방정식입니다. 이 도형의 정의와 그래프 그리고 특징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아스트로이드란? 아스트로이드(Astorid)의 사전적인 정의는 "반지름의 길이가 a인 원이 있고, 그 원 내부에 반지름이 1/4a인 원이 내접하고 있을 때 작은 원 위에 한 점을 표시하고 작은 원을 미끄러짐 없이 굴렸을 경우 생기는 그 점의 자취"입니다. 우선 그림을 통해 자취의 형태를 알아보시죠. 하늘색 곡선이 아스트로이드 곡선인데요. 약간 별모양을 띄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작은 원의 빨간색 곡선과 큰 원의 빨간색 곡선이 서로 만나면서 미끄러짐 없이 굴러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당연히 저 빨간색들의 길이는 서로 같습니다. 사이클로이드의 경우 물리학적으로도.. 2023. 9. 19.
[수학 이야기] 사이클로이드(Cycloid) 사이클로이드 개요 여러분들은 사이클로이드라고 들어보셨나요?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사이클로이드의 사전적인 의미는 원이 직선상을 구를 때 원위의 특정한 점이 그리는 자취(곡선)입니다. 글로는 충분한 설명이 될 것같지 않아 조금 더 자세한 설명과 함께 관련 일화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. 사이클로이드란? 사이클로이드는 이름에도 드러나있지만 자전거 바퀴가 굴러가는 모습에서 많은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. 자전거 바퀴의 한 부분에 점을 찍고 그 점만을 바라보면 나오는 흔적인데요. 백마디 글보다 그림을 보는 것이 더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. 마치 언덕처럼 생겼군요. 크게 특별한 건 없어보입니다. 그렇다면 왜 이런 곡선에 특별한 이름까지 붙이고 우리가 다루게 되는 걸까요? 사이클로이드와 관련된 일화 때는 17세기, .. 2023. 9. 17.
반응형